이 보고서에서는 기업의 뉴쇼어링 의사결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 통계의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여 제조기업의 업종별 투자목적 변화와 그에 따른 적합투자지역 선정에 관해 고찰해 보고자 합니다.
신흥국의 인건비 상승, 제품주기의 단축, 지적재산권의 유출 우려 등으로 인해 국외로 생산기지를 이전한 기업이 다시 국내로 복귀하는 리쇼어링(Re-shoring)이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투자환경 개선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로의 무조건적인 회귀는 합리적인 전략방향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제조기업은 해외투자의 환경 변화에 따라 기존의 입지를 고수할지, 국내로 회귀할지, 제3국으로 이동할지에 대한 뉴쇼어링(New-shoring)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Executive Summary
I. 서문
II. 해외직접투자의 변동
III. 뉴쇼어링(New-shoring)의 필요성
IV. 제조기업의 업종별 투자목적의 변화
V. 제조기업의 뉴쇼어링 전략
© 2021 Samjong KPMG Accounting Corp., the Korea member firm of the KPMG network of independent member firms affiliated with KPMG International Cooperative(“KPMG International”), a Swiss entity. All rights reserved.